본문 바로가기
(2024) 삶을 더하는 정보/삶을 더하는 건강정보

가을철감염병 치쿤구니야열 정보(증상, 원인, 전염성, 예방법) 총정리!!

by Liflus 2024. 10. 9.

■ 가을철감염병 치쿤구니야열이란?

<질병관리청 치쿤구니야열>

 

 치쿤구니야열은 치쿤구니야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열성 질환으로, 주로 모기를 통해 전파됩니다. 주된 매개체는 이집트숲모기와 아시아호랑이모기입니다. 이 질환은 주로 열대 및 아열대 지역, 특히 아프리카, 아시아, 남미에서 흔하게 발생하며, 최근에는 기후변화와 모기 서식지 확대 등으로 인해 다른 대륙으로도 확산되는 추세입니다. 치쿤구니야라는 이름은 현지 언어로 "구부러진"이라는 의미로, 감염 후 심한 관절통 때문에 몸을 구부리게 되는 특징적인 모습을 반영한 것입니다. 치쿤구니야열은 사망률이 낮은 편이지만, 관절통이 오래 지속될 수 있어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

■ 가을철감염병 치쿤구니야열 증상

치쿤구니야열의 증상은 감염된 모기에 물린 후 약 3~7일의 잠복기를 거쳐 발현됩니다.

 

▶ 주요 증상

  • 갑작스러운 고열: 약 39~40도에 이르는 고열이 발생하며, 대부분 2~3일간 지속됩니다.
  • 관절통 및 근육통: 손목, 발목, 무릎, 팔꿈치 등 관절 부위에 심한 통증이 나타나며, 이는 치쿤구니야열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입니다. 통증은 수개월 또는 수년간 지속될 수 있으며, 일부 환자에서는 만성 관절염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.
  • 피부 발진: 발열과 함께 가려움을 동반하는 발진이 발생할 수 있으며, 대부분 몸통에서 시작해 사지로 퍼집니다.
  • 기타 증상: 두통, 피로감, 구역감, 결막염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, 심한 경우에는 출혈성 증상(잇몸 출혈, 코피)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.

 치쿤구니야열의 대부분 증상은 약 1~2주 내에 호전되지만, 관절통은 일부 환자에서 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있어 완전 회복이 더디기도 합니다. 고령자나 만성질환을 가진 사람은 더 심각한 증상을 경험할 가능성이 큽니다.


■ 가을철감염병 치쿤구니야열 원인

01
<이집트숲모기 / 아시아호랑이모기>

 

 치쿤구니야열은 치쿤구니야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, 모기를 통해 전파됩니다. 이 바이러스는 이집트숲모기와 아시아호랑이모기가 주요 매개체로, 모기가 감염된 사람의 혈액을 흡입한 후 다른 사람을 물 때 바이러스를 전파합니다. 모기는 주로 물이 고여 있는 장소에서 번식하며, 이로 인해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주로 발생합니다. 치쿤구니야 바이러스는 모기를 통해서만 전파되며, 감염된 사람 간의 직접 전파는 거의 일어나지 않습니다. 그러나 희귀한 경우, 산모가 분만 중에 아기에게 바이러스를 전염시키는 수직 전파 사례도 보고된 바 있습니다. 이러한 특성 때문에 감염 확산의 주요 방지책은 모기 퇴치와 방역입니다.


■ 가을철감염병 치쿤구니야열 전염성

 치쿤구니야열은 사람 간의 직접 전염은 발생하지 않지만, 모기를 통해 빠르게 확산될 수 있습니다. 환자는 감염 후 증상 발현이 시작되기 전부터 발병 후 약 1주일까지 혈액 내에 바이러스가 남아 있어 이 기간 동안 모기가 물면 다른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습니다. 


■ 가을철감염병 치쿤구니야열 예방법

<질병관리청 치쿤구니야열 홍보물>

 

 치쿤구니야열의 경우 백신이나 특효약이 아직 없기 때문에 예방을 위한 최선의 방법은 모기 방어 및 방역입니다. 

 

▶모기 회피 및 방어

  •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고, 긴 소매 옷과 긴 바지를 착용하여 모기에게 물리지 않도록 합니다.
  • 모기장, 방충망 등을 사용해 모기가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막고, 모기의 활동이 활발한 낮 시간대에는 특히 주의합니다.

▶모기 서식지 제거

  • 모기는 고인 물에 알을 낳으므로 집 주변에 물이 고인 장소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특히 화분 받침, 물통, 쓰레기통, 하수구 등을 청결하게 관리하여 모기 번식 환경을 차단해야 합니다.
  • 장마철에는 주기적으로 집 주변을 점검하고, 불필요하게 고여 있는 물을 없애 모기의 번식을 방지합니다.

▶집단 방역 조치

  • 치쿤구니야열 환자가 발생한 지역에서는 방역 작업을 강화하고, 모기 개체수를 줄이기 위한 지역사회 차원의 방역 노력이 필요합니다.
  • 현지 보건 당국의 방역 지침을 따르고, 전염병이 발생한 경우 신속히 정보를 공유하여 감염 확산을 최소화해야 합니다.